View

리눅스 작업관리자 top

Lute3r 2013. 4. 23. 23:30

top 명령어 옵션


top 명령 실행시 추가할 수 있는 옵션

  • (top) -d [sec]: 설정된 초단위로 Refresh
  • (top) -c      : command뒤에 인자값 표시

top 명령 실행 후 사용할 수 있는 옵션

  • shift + t     : 실행된 시간이 큰 순서로 정렬
  • shift + m     : 메모리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렬
  • shift + p     : cpu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렬
  • k             : Process 종료
    • k 입력 후 종료할 PID를 입력한다
    • signal을 입력하라 표시되면 9를 넣어준다
  • c             : 명령 인자 표시 / 비표시
  • l(소 문자엘)   : uptime line(첫번째 행)을 표시 / 비표시
  • space bar     : Refresh
  • u             : 입력한 유저 소유의 Process만 표시
    • which user: 와 같이 유저를 입력하라 표시될때 User를 입력
    • blank(공백) 입력시 모두 표시
  • shift + b     : 상단의 uptime 및 기타 정보값을 블락선택해 표시
  • f             : 화면에 표시될 프로세스 관련 항목 설정
  • o             : 화면에 표시될 프로세스 관련 항목들의 표시 순서를 변경
    • 변경할 항목의 값을 대/소문자로 입력하면 항목의 위치가 이동됨



top명령 실행 후 화면


top - 15:55:22 up 98 days, 14:29,  1 user,  load average: 0.05, 0.04, 0.00
Tasks: 141 total,   1 running, 140 sleeping,   0 stopped,   0 zombie
Cpu(s):  0.2%us,  0.1%sy,  0.0%ni, 99.3%id,  0.4%wa,  0.0%hi,  0.0%si,  0.0%st
Mem:   4031448k total,  3306440k used,   725008k free,   263928k buffers
Swap:  8193140k total,     2900k used,  8190240k free,  1588424k cached

  PID USER      PR  NI  VIRT  RES  SHR S %CPU %MEM    TIME+  COMMAND


각 행별 내용

  • top - 15:55:22 up 98 days, 14:29,  1 user,  load average: 0.05, 0.04, 0.00

현재시간(15:55:22 ), uptime 값(up 98 day), 현재 로그인 된 사용자의 수(1 users), 시스템의 최근 1분, 5분, 15분에 대한 각각의 평균 부하율(load average: 0.03, 0.05, 0.05)
Load average: 작업의 대기시간. 값이 1이 나왔다면 1분 동안 평균 1개 정도의 프로세서가 대기상태에 있다는 것이다.
서버마다 차이가 있긴 하지만 5 정도면 서버가 부하를 받는 다고 생각한다. 과부하는 10 ~ 15이상이면 과부하라고 본다.

  • Tasks: 141 total,   1 running, 140 sleeping,   0 stopped,   0 zombie

전체 실행된 현재 프로세스의 수는 (141 total), 실행중인 프로세스 ( 1 running), 유휴상태의 프로세스(140 sleeping),
정지 된 프로세스( 0 stopped), 좀비 프로세스(0 zombie)

  • Cpu(s):  0.2%us,  0.1%sy,  0.0%ni, 99.3%id,  0.4%wa,  0.0%hi,  0.0%si,  0.0%st

사용자가 사용중인 CPU의 사용율(us), 시스템이 사용하는 CPU의 사용율(sy), NICE 정책에 의해 사용되는 CPU의 사용율(ni), 사용되지 않는 CPU의 미사용율(id), 입출력 대기상태의 사용율(wa)

  • Mem:   4031448k total,  3306440k used,   725008k free,   263928k buffers

전체 물리적인 메모리(total), 사용중인 메모리(used), 사용되지 않는 여유 메모리(free), 버퍼된 메모리(buffers)

  • Swap:  8193140k total,     2900k used,  8190240k free,  1588424k cached

전체 스왑 메모리(total), 사용중인 스왑 메모리(used), 남아있는 스왑메모리(free), 캐싱메모리(cached)
 

세부 정보 필드별 항목


  PID USER      PR  NI  VIRT  RES  SHR S %CPU %MEM    TIME+  COMMAND

  • PID : 프로세스 ID (PID)
  • USER :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
  • PRI :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(priority)
  • NI : NICE 값. 일의 nice value값이다. 마이너스를 가지는 nice value는 우선순위가 높음.
  • VIRT : 가상 메모리의 사용량(SWAP+RES)
  • RES : 현재 페이지가 상주하고 있는 크기(Resident Size)
  • SHR : 분할된 페이지,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를 나눈 메모리의 총합.
  • S : 프로세스의 상태 [ S(sleeping), R(running), W(swapped out process), Z(zombies) ]
  • %CPU :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의 사용율
  • %MEM :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사용율
  • TIME+ : Total CPU time used
  • COMMAND : 실행된 명령어


[펌]http://phiz.kr/linuxtip/169350

반응형
Share Link
repl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