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teXq/btrd5kZk6rW/kQMTXgG3PVGMv0xNU6CMa1/img.png)
[Python] Baekjoon 백준 1427번 소트인사이드 문제 배열을 정렬하는 것은 쉽다. 수가 주어지면, 그 수의 각 자리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해보자. 입력 첫째 줄에 정렬하고자하는 수 N이 주어진다. N은 1,000,0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출력 첫째 줄에 자리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수를 출력한다. n = input() n = sorted(n, reverse=True) [print(i, end="") for i in n] sorted(정렬할 데이터) # 기본 오름차순 sorted(n, reverse=False) 오름차순 sorted(n, reverse=True) 내림차순 sorted() 는 리스트로 반환 한다 사용: n = sorted(n) n = sorted(n, revers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wbiVw/btrea2wNJ14/PndgI4zmBKERdkBk7ec1uk/img.png)
[Python] Baekjoon 백준 2108번 통계학 문제 수를 처리하는 것은 통계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. 통계학에서 N개의 수를 대표하는 기본 통계값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. 단, N은 홀수라고 가정하자. 산술평균 : N개의 수들의 합을 N으로 나눈 값 중앙값 : N개의 수들을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했을 경우 그 중앙에 위치하는 값 최빈값 : N개의 수들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범위 : N개의 수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, 네 가지 기본 통계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1 ≤ N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단, N은 홀수이다.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정수들이 주어진다. 입력되는 정수의 절댓값은 4,000을 넘지 않는다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HsWv/btrd0FiVLhV/86W18SLhCF271pzje2jOeK/img.png)
[Python] Baekjoon 백준 10989번 수 정렬하기 3 문제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,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1 ≤ N ≤ 10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. 이 수는 1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 import sys n = int(input()) num = [0 for i in range(10001)] for i in range(n): a = int(sys.stdin.readline()) num[a] += 1 for i in range(1, 10001): if num[i] != 0: for j in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Df10/btrdVkLgqZ2/R7iyIPOzt7o6rSUbvS0XHk/img.png)
[Python] Baekjoon 백준 2751번 수 정렬하기 2 문제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,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. 이 수는 절댓값이 1,0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.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 import sys n = int(input()) num = [] for _ in range(n): num.append(int(sys.stdin.readline())) num.sort() for i in num: print(i) 2750번 문제랑 비슷하길레 그냥 했다가 시간초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zAkXr/btrdVjS5xO5/vDOtdKKD6Ch70o2DwyoKxk/img.png)
[Python] Baekjoon 백준 7568번 덩치 문제 우리는 사람의 덩치를 키와 몸무게, 이 두 개의 값으로 표현하여 그 등수를 매겨보려고 한다. 어떤 사람의 몸무게가 x kg이고 키가 y cm라면 이 사람의 덩치는 (x, y)로 표시된다. 두 사람 A 와 B의 덩치가 각각 (x, y), (p, q)라고 할 때 x > p 그리고 y > q 이라면 우리는 A의 덩치가 B의 덩치보다 "더 크다"고 말한다. 예를 들어 어떤 A, B 두 사람의 덩치가 각각 (56, 177), (45, 165) 라고 한다면 A의 덩치가 B보다 큰 셈이 된다. 그런데 서로 다른 덩치끼리 크기를 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. 예를 들어 두 사람 C와 D의 덩치가 각각 (45, 181), (55, 173)이라면 몸무게는 D가 C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