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iew
[Python] Baekjoon 백준 2231번 분해합
문제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 된다.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. 물론,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. 반대로,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.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
n = int(input())
chk = False
for i in range(0, n + 1):
isum = 0
tmp = list(str(i))
for j in tmp:
isum += int(j)
if i + isum == n:
print(i)
chk = True
break
if chk == False:
print("0")
문제에 "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" 라고 되어있어서 0부터 계산했다
예)
입력값이 216 이고
for문에 i 가 198 일때
198을 str로 바꾸고 리스트형식으로 tmp에 넣으면
'1', '9', '8' 로 들어간다
거기서 다시 tmp 에 하나씩 꺼내서 int 형으로 바꿔서 isum 에 하나씩 더해준다
if 문에서 위에 더한 tmp와 i 를 더 한 값이 입력값 n 이 일치 하면
출력하고 break, 추가로 chk 변수에 True
생성자가 없는 경우도 있으니 chk 에 변경없이 False 되어있을때 0 출력
추가
map() 과 sum() 을 이용해 조금 수정
n = int(input())
chk = False
for i in range(0, n + 1):
tmp = list(map(int, str(i)))
if i + sum(tmp) == n:
print(i)
chk = True
break
if chk == False:
print("0")
반응형
'Algorithm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Baekjoon 백준 2751번 수 정렬하기 2 (0) | 2021.09.03 |
---|---|
[Python] Baekjoon 백준 7568번 덩치 (0) | 2021.09.02 |
[Python] Baekjoon 백준 2798번 블랙잭 (0) | 2021.09.02 |
[Python] Baekjoon 백준 10870번 피보나치 수 5 (0) | 2021.08.30 |
[Python] Baekjoon 백준 1002번 터렛 (0) | 2021.08.29 |
reply